기사 메일전송
루베도 라이프 사이언스 신약 개발 플랫폼 ALEMBIC™, 새로운 신경병증성 통증과 노화 연계 연구에서 ‘좀비’ 뉴런 식별 지원… 동료 심사 과학 저널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게재
  • Rubedo Life Sciences, Inc.
  • 등록 2025-05-16 17:26:29
기사수정
  •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하는 노화 뉴런을 최초로 입증한 연구[1]
  • 루베도의 독점적인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 ALEMBIC™은 노화 뉴런을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식별[2]

Image created by Clara Leibenguth for Stanford University; featured on cover of May 2025 issue of Nature Neuroscience.


노화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선택적 세포 회춘 의약품을 발견하고 신속하게 개발하는 데 주력하는 AI 기반 임상 단계 바이오테크 기업인 루베도 라이프 사이언스(Rubedo Life Sciences, Inc., 이하 ‘루베도’)가 자사의 광범위한 신약 개발 플랫폼인 ALEMBIC™에 통합된 오픈 소스 코드를 사용해 노화 뉴런 식별을 지원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이 신규 연구는 노화 뉴런이 부상과 노화로 인한 만성 통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1] 흔히 ‘좀비’ 세포라고 불리는 노화 세포는 세포 스트레스와 손상의 결과로 발생한다. 이러한 노화 세포는 사멸하지 않고 친염증성 인자를 분비하는 등 세포 변화를 겪으며, 잠재적으로 체내 염증 반응의 원인이 될 수 있다.[1] 스탠퍼드 대학교 과학자 비비안 토픽(Vivianne Tawfik) 박사, 로렌 도노반(Lauren Donovan) 박사가 주도하고 최고과학 책임자 마르코 콰르타(Marco Quarta) 박사, 최고기술책임자 알렉스 라슬라비치(Alex Laslavic) 박사를 비롯한 루베도 팀원이 공동 저자로 참여한 이 연구는 5월 14일 발간된 권위 있는 동료 심사 과학 저널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3-025-01954-x)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에 게재됐으며, 5월호 표지에 실릴 예정이다.


콰르타 박사는 “우리는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 세포가 만성 퇴행성 질환과 질병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라며 “이 연구에서 우리는 뉴런이 노화돼 마우스 모델과 인간 등근 신경절 조직 모두에서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보여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SenTeCh™ 화학 기술이 적용된 광범위한 ALEMBIC™ 플랫폼의 일부로 제공된 생물정보학적 검증은 노화와 신경병증성 통증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기여했으며, 이러한 노화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이 노화 관련 질환을 겪는 이들에게 의미 있는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실험적 관찰을 추가로 뒷받침한다”고 전했다.[1]


연구 소개


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등근 신경절(DRG) 뉴런의 말초 축삭이 손상되면 통증과 같은 감각 기능 장애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노년층에서 더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또한 세포 노화는 노화와 부상 모두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감각 기능 장애의 원인이 된다. 노화 세포를 제거하면 통증이 개선되며, 이는 새로운 통증 치료제의 잠재적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1]


스탠퍼드 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 수술 전후 및 통증의학과 부교수이자 이 연구의 시니어 저자인 비비안 L. 토픽(Vivianne, L. Tawfik) 박사는 “만성 통증은 특히 노년층에서 미충족 수요가 높은 분야이다. 이 연구에서 노화는 노화 뉴런 즉, ‘좀비’ 뉴런의 부담을 현저하게 증가시켰고, 신경병증성 통증의 심각성을 악화시켰다. 이러한 통찰력은 노화 유사 뉴런의 선택적 표적이 만성 통증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1] 말했다. 그녀는 이어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루베도 팀이 제공한 귀중한 지원과 전문 지식에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루베도 라이프 사이언스 소개


루베도 라이프 사이언스(Rubedo Life Sciences)는 만성 노화 관련 질환을 유발하는 노화 세포를 표적하는 혁신적인 선택적 세포 회춘 의약품의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발견 및 개발하는 임상 단계의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당사의 독점적인 AI 기반 ALEMBIC™ 신약 개발 플랫폼은 폐질환, 피부 질환, 종양 질환, 신경 퇴행성 질환, 섬유화 질환 및 기타 만성 질환의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병적 세포 및 노화 세포를 선택적으로 표적하는 새로운 계열 내 최초의 저분자 화합물을 개발한다. 루베도의 선도적 신약 후보 물질인 RLS-1496은 잠재적인 계열 내 최초의 질병 변형 GPX4 조절제로서 2025년 봄에 임상 1상 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는 인간 임상시험에 진입하는 최초의 GPX4 조절제가 된다. 루베도의 경영진은 화학, AI 기술, 장수 과학, 생명과학 분야의 업계 리더와 초기 개척자들로 구성돼 있으며, 대형 제약사와 선도적인 생명공학 기업에서 쌓은 신약 개발 및 상용화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서니베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이탈리아 밀라노에 지사가 있다. 웹 사이트: www.rubedolife.com


참고 문헌


[1]. 도노반, L.J.(Donovan, L.J), 브루어, C.L.(Brewer, C.L.), 본드, S.F.(Bond, S.F.) 외, ‘노화와 부상은 등근 신경절의 신경세포 노화를 유발한다(Aging and injury drive neuronal senescence in the dorsal root ganglia)’Nat Neurosci(2025). https://doi.org/10.1038/s41593-025-01954-x


[2]. 파일 데이터, 루베도 라이프 사이언스, 서니베일, CA 94085.



0

프로필이미지

Rubedo Life Sciences, Inc. 다른 기사 보기

모티브온-300-180
이지메타 1면 배너 300-1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