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자 홍석원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는 제256회 정기연주회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을 6월 13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은 젊은 명장 홍석원의 지휘로 ‘거짓’, ‘폭력’, ‘절망’을 조명하며, 그 이면에 담긴 평화를 되새긴다. 프로코피예프(1891~1953), 파질 사이(1970~), 노재봉(1995~) 등 서로 다른 시대를 비추는 세 작곡가의 시선을 통해 혼란과 불안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을 돌아본다.
공연의 포문은 상주작곡가 노재봉(2024~2025)의 신작 ‘디오라마’가 연다. ‘탈진실’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그린 이 작품은, 진실과 거짓의 경계가 흐려진 시대를 음악언어로 증언한다. 노재봉은 사슴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 실제 사슴을 유인하는 사냥 도구 ‘엘크 뷰글’을 특수 악기로 사용한다. 가짜 소리로 진짜를 속이는 이 도구의 아이러니는 작품의 주제를 상징하며, 인공적으로 꾸며진 세계, 일종의 ‘디오라마’를 오케스트라 사운드로 구현한다.
튀르키예 출신 작곡가 파질 사이의 ‘절대로 포기하지 말라(Never Give Up)’는 폭력과 억압에 맞서는 인간의 저항과 희망을 그린다. 튀르키예 반정부 시위의 무력 진압, 2015년 파리 테러 등 현실의 비극을 담은 이 곡은, 첼로의 날카로운 파열음과 민속 선율을 통해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고발한다. 그러나 그 끝에서 ‘희망을 잃지 말자’는 강인한 메시지를 던진다. 협연자로는 카미유 토마가 함께 한다. 팬데믹 당시 파리 명소와 지붕 위에서 연주를 선보여 ‘지붕 위의 첼리스트’로도 잘 알려져 있는 그는, 자유의 가치를 노래하는 연주로 주목을 받았다. 그의 연주는 파질 사이가 던지는 음악적 질문과 깊이 호흡하며 공명을 이룬다.
공연의 대미는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이 장식한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4년 작곡된 이 작품은 전쟁과 폭력의 시대를 넘어 인간성과 평화에 대한 염원을 웅장하게 노래한다. 고전적 형식 위에 현대적 음악어법을 더한 이 교향곡은, 관악기의 화려함과 현악기의 명상적 흐름 속에서 인간 정신의 회복을 힘 있게 그려낸다. 프로코피예프 스스로 이를 “자유롭고 행복하며 강한 인간 정신에 대한 찬가”라고 정의했듯, 이번 연주는 혼란과 상처의 시대 속에서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를 성찰하는 시간을 선사한다.
예매·문의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홈페이지(www.knso.or.kr) 또는 전화로 가능하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소개
1985년 국내 최초 민간 교향악단인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로 출발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Kore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는 관현악은 물론 오페라·발레까지 아우르는 극장 오케스트라로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구축했다. 연 100회 연주로 국민의 문화향유 확대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K 클래식을 이끌 연주자·작곡가·지휘자를 위한 교육 사업으로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