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는 25일 콘퍼런스콜로 진행된 기업설명회를 통해 2025년 1분기 매출액 28조175억원, 영업이익 3조86억원, 당기순이익 2조3926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기아
기아의 1분기 글로벌 판매량은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에 대한 고객 선호 확대, 관세 적용을 앞둔 미국 시장의 선구매 수요, 인도와 신흥 시장의 판매 호조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77만2648대를 기록했다. 이에 힘입어 매출액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28조175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판매에 따른 가격 상승, 원자재가 하락으로 인한 재료비 절감, 원화 약세에 기반한 긍정적 환율효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분기 매우 낮았던 해외 주요 시장의 인센티브 기저 영향 및 지난해 북미 시장의 EV9 본격 판매에 따른 판매믹스 기저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 감소한 3조86억원을 기록했다.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14.3%, 14.8% 감소했다.
2025년 1분기 지역별 판매 실적을 살펴보면, 국내에서는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등 고수익 RV 차종과 전기차 볼륨 모델인 EV3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K3와 모하비 단산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13만4564대를 기록했다. 반면 해외 판매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북미 권역의 견조한 수요, 인도 권역에서 시로스의 성공적 론칭, 아중동 및 중남미 등 신흥 시장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63만8084대를 달성했다.
유럽 권역에서는 EV3의 인기와 차량 공급 제약 해소에도 불구하고 2분기 출시 예정인 스포티지 PE 대기 수요의 영향으로 판매가 다소 감소했다. 매출액 증가는 친환경차와 RV 차량 판매 비중 확대에 따른 대당 판매가격 상승과 우호적인 환율 효과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매출 원가율은 인센티브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2.1%포인트 상승한 78.3%를 기록했으며, 판매 관리 비율은 전년 대비 0.3%포인트 상승한 11.0%를 기록해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영업이익률은 10.7%로, 글로벌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예상 영업이익률 평균치인 5%의 약 2배 이상 수준을 기록했다.
기아는 수익성 감소에도 불구하고 2022년 4분기부터 10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2조원 이상,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며 고수익 체제를 지속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친환경차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수요 확대에 따른 판매 증가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한 17만4000대를 기록했으며, 전체 판매 중 친환경차 판매 비중도 전년 대비 1.5%포인트 상승한 23.1%를 달성했다. 유형별로는 하이브리드가 10만4000대(전년 대비 10.6% 증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1만4000대(26.3% 감소), 전기차가 5만6000대(27.0% 증가) 판매됐다.
주요 시장별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국내 42.7%, 서유럽 43.9%, 미국 18.4%로 모든 주요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됐다.
기아는 향후 관세 등 글로벌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소비자 구매 심리 위축 등으로 어려운 경영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업체 간 경쟁 심화와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 등 완성차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 기반 유연 생산 운영을 통한 적정 재고 수준 유지와 최적의 인센티브 운영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주요 시장별 향후 계획으로는 국내에서 EV4에 이어 EV5 출시로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 확대를 지속할 예정이다. 또한 기아 최초의 픽업트럭 타스만과 PBV PV5를 통해 전 세그먼트에 걸쳐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방침이다.
미국에서는 수요 기반 생산 운영을 통한 효율적 인센티브 유지, EV6와 EV9의 현지 생산을 통한 전기차 판매 비중 확대, 쏘렌토·카니발·스포티지 등 하이브리드 모델 공급 증대를 통해 수익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유럽에서는 EV3의 성공적 론칭에 이어 EV4, EV5, PV5를 선보이며 전기차 라인업을 확장하고 전동화 선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예정이다. 인도에서는 시로스의 판매 호조와 함께 카렌스 상품성 개선 모델 출시 등 신차 사이클 진입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피플스토리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