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핀 이후 K-산업 2.0
매일경제신문사에서 박광기 저자의 신간 '킹핀 이후 K-산업 2.0'을 출간했다.
이 책은 '한국 경제의 킹핀을 찾아서'에 이은 포스트 수출 강국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트럼프발 세계 관세 전쟁, 한중 기술 역전,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흔들리는 한국의 상품 제조·수출형 경제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대개혁을 위한 신경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인바운드 대내 전략에 초점을 맞춰, 제조 강국, 과학기술 강국, 문화 강국 비전을 구현할 K-지식서비스 5대 플랫폼, K-시니어노믹스, 자영업 및 소상공인 구조 개편을 위한 일자리 창출형 긴급 구제사업까지 폭넓은 해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총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에서는 기존 산업정책의 한계를 넘어선 '산업정책 2.0'을 다룬다. 포용 성장을 위한 투 트랙 성장 전략을 통해 국가 단위 비교우위를 재구축하고, 포트폴리오 운용 기반 산업 진화로의 전환을 설명한다. 또한 재벌그룹의 제2 창업을 국가 산업개혁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기업 간·세대 간 동반 성장 플랫폼 구축을 통한 양극화 해법과 잠재 성장률 제고 방안을 모색한다.
PART 2에서는 관세 전쟁 시대에 대응하는 'FTA 2.0 통상 모델'을 제시한다. 상품 수출 시장에서 국가 아젠다 맞춤형 개발 시장으로 전환하여 신남방정책 2.0과 한·아세안 경제협력 뉴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미국 불법이민 해법과 연계한 경제 성장 기회를 모색한다. 경제 공동체형 K-경제특구 사업을 통해 내수 시장을 확장하고, 팀코리아 투자 조직화를 통한 종합개발 모델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PART 3에서는 지식서비스 기반 5대 선진형 산업 플랫폼을 구체화한다. 지식산업에서는 산업 현장 기술 기반 제조 지식·엔지니어링·위탁 경영 서비스와 K-시니어노믹스를 통한 세대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제안한다. 금융산업에서는 국제 개발협력 플랫폼 기반 개발 금융 허브 구축을, 첨단산업에서는 상용·응용 R&D 기반 글로벌 테스트베드 조성을 강조한다. 문화산업에서는 한류 콘텐츠 기반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교육 콘텐츠 IP 산업 육성을, 관광산업에서는 세계 목적성 관광의 허브로서 테마 관광대국을 지향한다.
저자 박광기는 삼성전자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토교통부 장관정책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전환기에 우리 사회가 당면한 경제 현실 문제를 '국가 단위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 해결하자는 '신성장전략'을 꾸준히 연구하며 언론 기고, 국책연구기관 협업 출판물, 외부 강연 등을 통해 그의 사상을 현실에 구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의 저서로는 '제2 창업시대', '산업 한류혁명' 등이 있다. '킹핀 이후 K-산업 2.0'은 한국 경제의 새로운 비전과 로드맵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uapple
기자
피플스토리 © PEOPLE STORY All rights reserved.
피플스토리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