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보안 실무자를 위한 기술 콘퍼런스 ‘안랩 테크 서밋 2025’ 성료

uapple 기자

등록 2025-07-20 11:04

안랩 강석균 대표가 ‘안랩 테크 서밋 2025’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안랩 강석균 대표가 ‘안랩 테크 서밋 2025’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안랩(대표 강석균, www.ahnlab.com)이 지난 18일 양재 엘타워에서 고객사 보안 실무자를 대상으로 기술 콘퍼런스 ‘안랩 테크 서밋(AhnLab Tech Summit) 2025’를 개최했다.


안랩 테크 서밋은 안랩이 자사 보안 기술을 활용한 최신 보안 위협 대응 노하우를 고객사와 공유하기 위해 연례 개최하는 행사다.


올해 행사에서는 엔드포인트 및 네트워크 제품군 고객사 보안 실무자 140여 명을 초청해 △최신 사이버 보안 트렌드 △국내 사이버 공격 사례 및 대응 방안 △안랩 주요 솔루션(XDR, EDR, MDR, XTG, AI PLUS, CPS PLUS 등) 운영법 등 현장 밀착형 보안 위협 대응 전략을 소개했다.


특히 다변화하는 보안 환경 속에서 엔드포인트, 네트워크, 클라우드, CPS(사이버물리시스템) 등 다양한 보안 영역별 최신 보안 기술과 실전 적용 사례를 아우른 심도 있는 보안 정보가 보안 실무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 외에도 행사장 내 별도 부스에서 제품 전시 및 시연을 진행하고, 안랩의 보안 전문가와 1:1 제품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토크 라운지’를 운영했다.


안랩 강석균 대표는 인사말에서 “AI의 급격한 발전으로 보안 기술과 위협 모두 고도화되면서 많은 조직들이 ‘복잡한 보안 운영 환경’과 ‘인력 및 자원의 한계’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안랩이 30년간 쌓아온 보안 역량을 집약한 이번 행사가 보다 안전한 비즈니스 환경을 고민하는 보안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인사이트를 전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안랩 테크 서밋 2025 발표 세션 요약


- Cybersecurity Trend 2025(제품기획본부 김창희 본부장): AI 에이전트 기반 자율 보안 운영 등 올해 주요 글로벌 사이버 보안 콘퍼런스가 주목한 사이버 보안 트렌드를 살펴보고, 보안 담당자들이 준비해야 할 대응 방향과 시사점을 전달했다.


- 국내를 위협하는 사이버 공격 사례와 대응 전략(분석대응팀 이선호 팀장): 워터링 홀, 클릭픽스, BPFDoor 등 상반기 주요 사이버 위협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조직을 겨냥한 실제 공격 흐름에 맞춘 현실적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 AI로 앞서가는 보안의 미래: AhnLab AI PLUS(인공지능개발실 이승경 실장): 머신러닝부터 생성형 AI, 에이전틱 AI에 이르는 AI의 발전 흐름을 짚으며, 안랩의 AI 기술을 기반으로 탐지부터 대응까지 자율화된 보안 운영 전략을 제시했다.


- EDR 도입과 위협 탐지, 그 이후의 공백을 안랩 MDR로 완성하다(엔드포인트보안기술팀 김태양 부장): 관리 인력 부족, 오탐 등 EDR 도입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안랩 MDR를 활용해 탐지 이후 분석·조치·분석을 아우르는 위협 대응 체계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 연결된 보안, 확장된 시야, 운영의 통합 전략: XDR(기술컨설팅팀 서숭원 부장): 서로 연동되지 않은 보안 솔루션, 제한된 가시성, 분절된 대응 프로세스 등 조직 보안 사각지대의 발생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 안랩 XDR을 기반으로 한 통합 보안 운영 전략과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 OT 보안, IT 보안처럼 해도 괜찮을까? CPS 환경의 특수성과 함정(융합보안기술팀 박범진 차장): CPS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IT 보안 방식을 그대로 적용해 발생한 보안 실패 사례를 살펴보고, 운영 연속성 및 가용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안랩의 CPS 보안 프레임워크와 그 구축 방안을 제안했다.


- 제로트러스트 보안의 시작: XTG(네트워크보안기술팀 박훈규 팀장): 전통 보안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로트러스트 개념의 진화 과정을 살펴보고, 안랩 XTG가 강력한 ZTNA(Zero Trust Network Access)를 구현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uapple

uapple

기자

여기에 광고하세요!!

여기에 광고하세요!!

피플스토리
등록번호경기 아54185
등록일자2024-09-09
오픈일자2024-09-09
발행인장기영
편집인장기영
FAX050)4433-5365
이메일peoplestorynet@nate.com
주소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49 호원메이저 10F
uapple

피플스토리 © PEOPLE STORY All rights reserved.

피플스토리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