넬동물심장수술팀, 감염으로 인한 심장판막 손상을 수술적으로 재건, 수의학계 ‘세계 최초 사례’
단백소실성장병증(Protein-Losing Enteropathy, PLE)을 앓고 있는 8세, 6.2kg의 스피츠
국내 의료진이 세계 최초로 반려견 감염성 심내막염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 성공했다.
수술을 집도한 넬동물의료재단 넬동물심장수술팀(대표원장 엄태흠)은 기존 내과적 치료에도 효과가 제한적이었던 중증 환자에게 심폐체외순환(CPB)을 이용한 판막 절제 및 재건 수술을 시행,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번 수술은 퇴행성 변화로 인해 손상된 승모판막을 재건하고, 이후 기회감염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두 번째 수술을 통해 판막 기능을 회복시켰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사례다.
해당 환자는 8세, 6.2kg의 스피츠로, 단백소실성장병증(Protein-Losing Enteropathy, PLE)을 앓고 있었으며, 장기 항생제 치료 이력이 있는 고위험 환자였다. 1차 수술에서는 점액종성 변화로 변성된 판막을 재건해 역류를 현저히 개선했고, 이후 약물 없이 안정적인 회복을 보였다.
하지만 수술 약 4주 후 판막에 세균 감염이 발생했고, 정밀 검사 결과 다제내성균인 엔테로코커스 페시움(Enterococcus faecium)에 의한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확인됐다. 장기 항생제 치료와 장염으로 인한 장벽 손상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의료진은 6주간 정맥 항생제 치료로 감염을 통제했지만, 판막 구조 손상이 심각해 재수술이 결정됐다.
2차 수술에서는 감염으로 짧아진 승모판막 전엽을 소 심낭 패치로 연장하고 재건하는 전엽 패치 증강술(anterior mitral valve leaflet patch augmentation)을 적용했다. 이는 사람의 심장 수술에서 활용되는 고난도 기법으로, 개에게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9시간에 걸친 수술 이후 환자는 모든 심장약과 이뇨제를 중단할 수 있었고, 재수술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기절 증상 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을 앓은 개의 평균 생존 기간이 약 70일인 점을 고려할 때, 발병 후 10개월 이상 생존하며 호전 중인 이번 사례는 수술적 치료의 가능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넬동물심장수술팀 엄태흠 대표원장은 “이번 사례는 기존에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개 감염성 심내막염에 대해 외과적 치료의 성공 가능성을 입증한 첫 사례”라며 “50례 이상의 심장판막수술 경험이 쌓여 이루어낸 발전이며 향후 경과를 계속 관찰하며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넬동물심장수술팀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난치성 개 심장 질환 치료의 임상적 범위를 넓히고 관련 학술 보고를 통해 전 세계 수의 심장학계에 치료적 근거를 제시할 계획이다.

uapple
기자
피플스토리 © PEOPLE STORY All rights reserved.
피플스토리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