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교육, 학생 주체성 발달에 긍정적 작용 확인
학생주체성의 종단적 변화추이(인구통계학적 변인+중1 성적 통제)
특성화고 교육이 일반고보다 학생의 주체성 발달에 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10월 30일(목) ‘KRIVET Issue Brief 308호(학생 주체성 발달, 특성화고 교육의 기회와 도전)’를 발표했다.
※ 이번 분석의 대상은 고등학생 6145명(특성화고 학생 928명(15.1%))으로, 이들의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를 분석했다(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년~2020년).
※ 학생 주체성은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주체적 마음가짐’, ‘주도적 행동’, ‘노력 지속’, ‘자원 활용’ 등을 측정했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308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1학년 시점부터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주체성’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 주체성 발달에 대한 특성화고 교육의 긍정적 효과가 확인됐다.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학생 주체성을 살펴보니 고등학교 1학년을 기점으로 차이가 줄었다.
‘주체적 마음가짐’과 ‘주도적 행동’에서 상대적으로 격차가 크게 줄었다.
특성화고 학생의 ‘노력 지속’은 고등학교에 진입하면서 다른 학교 유형의 학생들보다 빠르게 회복했고, ‘자원 활용’은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사이에 차이가 커졌다.
특성화고 교육이 학생 주체성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측면을 시사한다.
특성화고 여학생은 ‘행동’, 남학생은 ‘마음가짐’ 측면에서 더 주체적이었으며, 가구 소득과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학생의 주체성도 높았다.
성별에 따른 ‘주체적 마음가짐’과 ‘주도적 행동’을 살펴보면 ‘주체적 마음가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다만 ‘주도적 행동’은 고등학교 진입 이후부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가구 소득이 높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주체적 마음가짐’과 ‘주도적 행동’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특별시와 읍면 지역 학생들이 중소도시 학생보다 주체성 수준이 높게 조사됐다.
본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수현 부연구위원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주체성이 고등학교 시기에 회복되는 양상이 관찰됐다”며 “진학과 취업 과정에서 주체성이 억제되지 않도록 학교 문화 쇄신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uapple
기자
피플스토리 uapple © PEOPLE STORY All rights reserved.
피플스토리 uapple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