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블록스, RDC 2025에서 크리에이터를 위한 AI·수익화·성능 혁신 공개

uapple 기자

등록 2025-09-08 10:13

로블록스 개발자 회의(RDC) 통해 개발자들이 플랫폼에서 더 쉽게 창작하고 확장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도구 및 강화된 수익 창출 방안 공개

로블록스 모멘트(Roblox Moments)로블록스 모멘트(Roblox Moments)


몰입형 게임 및 창작 플랫폼 로블록스(Roblox)가 지난 5일(미국 현지시간 기준) 제11회 ‘로블록스 개발자 회의(Roblox Developers Conference, RDC)’를 개최하고 다수의 혁신을 발표했다. 로블록스 개발자 회의는 로블록스 크리에이터 커뮤니티를 위한 초청 기반의 연례행사로, 플랫폼을 이끄는 개발자와 아티스트, 디자이너, 크리에이터, 브랜드, 인플루언서 등을 한 자리에 모은다.


이번 행사를 통해 새롭게 공개된 기능들은 크리에이터들이 더욱 매력적인 콘텐츠를 구현하고, 그들의 사용자층을 확대하며, 수익 잠재력을 강화하는 등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데이비드 바주키(David Baszucki) 로블록스 CEO는 지난 RDC 2024에서 전체 게임 콘텐츠 수익의 10%가 로블록스 생태계를 통해 발생하고, 이 수익이 로블록스 커뮤니티 전반에 분배되도록 하겠다는 원대한 목표를 밝혔다. 이러한 목표에 힘입어 로블록스 크리에이터들은 2025년 6월 30일 기준 지난 12개월간 개발자 환전 프로그램(DevEx)을 통해 10억달러 이상의 수익을 지급받았으며, 2025년 한 해 동안의 지급액은 해당 수치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그뿐만 아니라 이번 행사를 통해 공개된 소식은 로블록스 크리에이터 커뮤니티가 보다 폭넓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층 더 많은 도구와 기회를 제공한다.


창작: AI로 크리에이터와 사용자에게 힘을 더하다


닉 토노우(Nick Tornow) 로블록스 엔지니어링, 크리에이터 및 엔진 부문 수석부사장은 “로블록스의 목표는 개발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성장하는 비즈니스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로블록스는 크리에이터들에게 강력한 도구와 기회를 제공했을 때 그들이 오히려 우리를 놀라게 하고 플랫폼 내에 영감을 불어넣으며, 창의적 가능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뛰어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수차례 목도했다. 로블록스는 크리에이터들이 AI 기능을 갖춘 더 나은 도구들을 활용해 그들의 아이디어를 더 빠르게 현실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로블록스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예술적 자유, 강화된 편의성, 더욱 효율적인 개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AI 관련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새롭게 공개된 도구들은 플레이어들이 대화하고, 반응하며, 다른 사람과 연결되는 한편, 창작까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새로운 기능은 다음과 같다.


· 4D 개체(4D Object): 로블록스는 큐브 3D(Cube 3D) 기반의 강력한 3D 제작 기술에 ‘상호작용(interaction)’이라는 4차원 요소를 결합해 4D 개체를 생성한다. 4D 개체는 생성형 AI를 발전시키는 동시에 개체, 환경,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한다. 일례로 기존에는 단순한 자동차 개체 생성에 그쳤다면 이제 실제 차량처럼 운전하거나 문을 여닫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자동차 모델을 제작할 수 있다(해당 기능은 올해 4분기부터 시범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실시간 음성 채팅 번역(Real-Time Voice Chat Translation): 내년부터 로블록스의 전 세계 사용자들은 실시간 음성 번역을 통해 언어 장벽 없이 원활하게 음성 채팅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음성 채팅 기능을 사용하면 상대방의 모국어로 번역돼 들리는 구조로, 더욱 긴밀한 글로벌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기능은 로블록스가 2024년 2월 공개한 실시간 채팅 번역 기능에 기반하고 있다.


· 텍스트-투-스피치(Text-to-Speech) API: 현재 제한적으로 이용 가능한 해당 API를 통해 크리에이터는 실시간 자막 생성, 사전 녹음된 오디오 클립 제작, 내레이터/NPC 대사 및 보이스오버 시나리오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이어가 제어하는 캐릭터가 아닌 컴퓨터가 제어하는 NPC에도 해당 API를 통해 내레이션과 캐릭터의 대사를 추가해 생동감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로블록스는 텍스트를 오디오로 변환하는 방식을 통해 최대 10가지 사전 설정된 음성을 제공하고 있어 크리에이터가 손쉽게 음성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스피치-투-텍스트(Speech-to-Text) API: 해당 API는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통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새로운 차원의 몰입감과 접근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문 열어줘”, “레이저 발사해”와 같은 음성 명령으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크리에이터는 자막 기능을 새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체험의 접근성과 도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제한된 버전으로 출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 어시스턴트 개선 사항 및 모델 콘텍스트 프로토콜(MCP): 크리에이터가 자연어로 코딩, 개발, 텍스처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시스턴트(Assistant)는 더욱 능동적이고 상황 및 맥락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진화했다. 로블록스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복잡한 구조의 다단계 작업도 손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크리에이터의 생산성은 크게 강화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어시스턴트는 9월 말 모델 콘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과 호환될 예정이다. 이번 통합은 어시스턴트가 MCP 서버로 작동하는 것을 넘어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며 피그마(Figma), 블록에이드 랩스(Blockade Labs) 등 인기 서드파티 서비스 간 작업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창작: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다


로블록스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장르와 참신한 형태의 게임 플레이로의 확장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로블록스는 성능과 정확도를 강화하는 다양한 기술적 발전 사항을 발표했다.


· 서버 권한(Server Authority): 서버 권한은 로블록스가 새롭게 선보이는 모드로 두 가지 핵심적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로는 게임 내 부정행위를 줄이는 것, 둘째는 게임 내에서 이뤄지는 물리적 상호작용을 더욱 현실감 있게 만드는 것이다. 서버 권한은 슈팅, 레이싱, 스포츠와 같이 공정성이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현실감이 몰입도를 결정하는 경쟁 중심의 멀티 플레이 게임에서 더욱 그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 아바타 업데이트: 로블록스는 지속적으로 아바타를 업데이트 중이며, 그 일환으로 이번 RDC에서 아바타가 실제 인물과 똑같이 자연스럽게 달리고, 등반하며, 장애물을 넘는 등 생동감 넘치는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이 외에도 로블록스는 손가락을 움켜쥐는 것과 같은 복잡한 동작처럼 크리에이터가 구현하고자 하는 아바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플랫폼의 이러한 노력은 특히 신체적 움직임과 맥락이 게임 플레이의 핵심이 되는 새로운 장르에서 크리에이터들이 더 높은 수준의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 향상된 엔진 성능: 로블록스는 성능과 품질에 대한 개선 사항도 함께 발표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크리에이터들은 추가 작업이나 성능 저하 없이도 다양한 기기에서 로블록스를 지원 가능한 최고의 화질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확장: 크리에이터의 성장과 잠재 고객 참여 증진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다


이번 행사를 통해 로블록스는 크리에이터가 혁신적인 방식으로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고 커뮤니티를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공개했다.


· 로블록스 모멘트(Roblox Moments, 베타 버전): ‘로블록스 모멘트’는 게임 플레이 장면을 공유하고 다양한 게임을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숏폼 영상 체험이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게임플레이를 짧은 영상 형태로 캡처한 뒤, 이를 편집해 해당 체험 내에서 공유한다. 크리에이터들은 머지않아 공개될 크리에이터용 제작 및 탐색 API 세트를 통해 잠재 고객을 확대하고 사용자층을 효율적으로 유지해 나갈 것이다(로블록스 모멘트는 현재 만 13세 이상 사용자에게 베타 버전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모멘트 API는 향후 출시될 예정이다).


· 파트너(Partners):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의 일환으로, 마텔(Mattel)은 최근 로블록스에 도입된 라이선스 관리자(License Manager)와 라이선스 카탈로그(Licenses catalog)에 자사의 유명 IP인 ‘폴리 포켓(Polly Pocket)’, ‘스트리트 샤크(Street Sharks)’, ‘록엠 삭엠 로봇(Rock ’Em Sock ’Em Robots)’, ‘매치박스(Matchbox)’ 등을 추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브랜드를 활용해 게임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일본의 세계적인 출판사 고단샤(Kodansha) 역시 라이선스 카탈로그에 자사의 히트작인 ‘블루 록(Blue Lock)’,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That Time I Got Reincarnated as a Slime)’를 추가한다. 사용자들은 이번 행사를 기점으로 ‘블루 록: 라이벌즈(Blue Lock: Rivals)’를 플레이하며 세계 최고의 에고이스트 스트라이커가 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라이온스게이트(Lionsgate)의 경우 로블록스 크리에이터들을 위해 ‘더 스트레인저스(The Strangers)’, ‘블레어 윗치(Blair Witch)’, ‘폴(Fall)’ 등 다수의 IP를 추가 제공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로블록스는 애초 발표한 계획보다 빠르게 상파울루(São Paulo) 데이터센터를 가동하고 플랫폼 트래픽을 처리 중이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사용자와 크리에이터들의 지연 시간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게 됐다.


수익: 크리에이터들의 수익 잠재력을 강화하다


로블록스는 RDC 2025를 기점으로 개발자 환전(DevEx) 지급률을 인상해 크리에이터들이 획득한 로벅스를 현금으로 전환할 때 약 8.5%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성장하고 성공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로블록스의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결정이다. 실제로 로블록스의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어, 상위 1000명의 로블록스 개발자 평균 수익은 약 100만달러에 달하며 이는 2020년 대비 2.9배로 증가한 수치다[1].


닉 토노우(Nick Tornow) 로블록스 엔지니어링, 크리에이터 및 엔진 부문 수석부사장은 “개발자와 크리에이터 커뮤니티는 로블록스의 핵심이자, 플랫폼에 생기를 불어넣는 존재”라며 “로블록스는 개발자들이 플랫폼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 중이다. 이번 행사를 통해 발표한 개발자 환전 지급률 인상은 크리에이터들이 로블록스에 가져다주는 놀라운 가치에 보답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RDC에서 발표된 제품에 대한 더 자세한 소식은 로블록스 뉴스룸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로블록스 크리에이터 생태계에는 다양한 취미 창작자들도 포함돼 있다. 현재 로블록스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크리에이터 가운데 2만9000명 이상이 개발자 환전(DevEx)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2025년 6월 30일 기준 지난 1년간 크리에이터의 수익 중간값은 1440달러였다.


uapple

uapple

기자

여기에 광고하세요!!

여기에 광고하세요!!

여기에 광고하세요!!

피플스토리 uapple
등록번호경기 아54185
등록일자2024-09-09
오픈일자2024-09-20
발행인장기영
편집인장기영
FAX050)4433-5365
이메일peoplestorynet@nate.com
주소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49 효원메이저 10F
uapple

피플스토리 uapple © PEOPLE STORY All rights reserved.

피플스토리 uapple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