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산내면 능교리 장금이 정원에서 지난 8월 29일 '우리왕실배추 파종식'이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산내면이 후원하고 우리왕실배추보존회와 우리왕실배추정읍시사업단이 공동 주관했으며, 주민 15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우리왕실배추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길러져 왕실의 식문화에 쓰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삼의 쌉싸름한 맛, 갓의 알싸한 맛, 달달한 맛'이 어우러진 독특한 풍미로 주목받으며,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귀한 작물로 평가된다.
산내의 청정하고 비옥한 토양과 큰 일교차는 왕실배추의 안정적인 생육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특히 대장금 장금이의 고향인 산내에서 재배지가 조성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파종된 씨앗은 겨울을 지나 봄이 되면 유채꽃처럼 노란 꽃을 피운다. 꽃대는 최대 2m까지 자라며, 개화 기간이 두 달가량 이어져 내년 4월에는 장금이 정원이 노란 배추꽃밭으로 변모할 예정이다. 이 시기에는 꽃 축제도 열려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또 다른 볼거리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는 우리왕실배추가 지역 특산물로 자리 잡고 관광산업과 연계된 경관농업 자원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행사 현장에서는 한승희 작가의 드로잉 퍼포먼스와 우리왕실배추로 절인 비빔밥 나눔 시식회가 함께 열려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잃어버린 '우리왕실배추', 장금의 고향에서 부활
정읍 산내면이 조선 시대 궁중 품종인 '우리왕실배추' 의 터전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대장금의 고향으로 전해지는 이곳에서 귀한 품종의 역사적 뿌리를 되살리고, 김치 종주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드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우리왕실배추'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대장금의 지혜가 깃든 품종으로, 그 고귀한 역사적 정통성을 품고 있다. 산내면은 대장금의 출생지로 추정되는 '장금리'가 존재하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김장문화의 맥을 잇는 데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땅에서 '우리왕실배추'를 재배하는 것은 단순한 농업 행위를 넘어, 김치 문화의 살아있는 역사를 재현하는 감동적인 행위로 평가받고 있다.
산내면의 지리적 특성 또한 '우리왕실배추'의 부활을 돕고 있다. 옥정호 인근의 큰 일교차는 배추의 맛과 아삭한 식감을 극대화하고, 호수의 습도 조절 기능은 가뭄에도 안정적인 생육 환경을 제공한다. 왕자봉을 비롯한 산악 지형이 뿜어내는 깨끗한 공기와 비옥한 토양은 '우리왕실배추'가 지닌 고유한 맛과 품질을 온전히 보존하는 데 필수적이다.
나아가 산내면은 '우리왕실배추'를 통해 6차 산업의 복합 거점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품고 있다. 프리미엄 김치 생산, 가공식품 개발, 테마 관광, 그리고 연구 및 교육체험센터 구축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역 사회의 자립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나아가 지방 소멸을 막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각에서는 '우리왕실배추'가 꿀벌의 중요한 밀원식물이 되어 건강한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는 단순한 종자 보존을 넘어 인류의 생존과 환경 보호에 이바지하는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할 것이다. '우리왕실배추'의 산내면 유치는 김치 종주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2036 하계올림픽 유치 및 성공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산내면은 '우리왕실배추'의 역사적 정통성, 최적의 생육 환경, 그리고 미래 비전을 모두 담아낼 수 있는 유일무이한 장소로 평가받고 있다.

uapple
기자
피플스토리 uapple © PEOPLE STORY All rights reserved.
피플스토리 uapple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